패턴 명리와 천지인 story 북

패턴 명리와 천지인 story 북

사계절 운행도(대운.세운) NEW

佛敎 修行(37助道品.8정도.12연기.4성제)

손비담 2024. 4. 12. 22:52

 

 

 

 

37조도품이란 

 

37조도품(三十七道品)은

**깨달음(보리, 각)**에 이르는 37가지의 법을 말합니다. 초기불교의 경전인 《아함경》 또는 《니까야》에서 고타마 붓다가 언급하거나 설명하고 있는 37가지의 도품(道品) 즉 수행법(修行法)을 가리키는 낱말이며, 사실상 초기불교의 수행법을 통칭하는 낱말입니다.

(37보리분법은 마음챙김, 삼매, 계, 정, 혜, 즉 삼학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37조도품은 다음과 같이 7가지 범주로 나뉩니다.

  1. 사념처(四念處): 몸, 느낌, 마음, 법에 대한 명상
  2. 사정단(四正勤): 악한 마음을 끊고, 아직 일어나지 않은 악한 마음을 일어나지 않게 하고, 아직 일어나지 않은 좋은 마음을 일어나게 하고, 일어난 좋은 마음을 더욱 키우는 노력
  3. 사신족(四如意足): 욕심을 버리고, 마음의 혼란을 끊고, 고통을 벗어나고, 행복을 증진하는 수단
  4. 오근(五根): 신앙, 근면, 명, 사의, 정진
  5. 오력(五力): 신앙력, 근면력, 명력, 사의력, 정진력
  6. 칠각지(七覺支): 7가지 깨달음의 요소: 1) 평등성, 2) 분석성, 3) 열정, 4) 근면, 5) 염오, 6) 사유, 7) 정신
  7. 팔정도(八正道): 바른 생각, 바른 말, 바른 행동, 바른 생활, 바른 노력, 바른 마음챙김, 바른 집중

 

 

 

 

 

 

문사수는 **문(聞), 사(思), 수(修)**의 세 단계로 이루어지는 수행법을 의미합니다.

**문(聞)**은 스승이나 선배로부터 불법을 듣고 배우는 것을 말합니다. **사(思)**는 들은 법을 깊이 생각하고 명상하는 것을 말합니다. **수(修)**는 들은 법을 실천하고 자신의 삶에 살리는 것을 말합니다.

문사수는 불교 수행의 기본적인 과정이며, 깨달음을 향한 길을 닦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문사수를 통해 우리는 불법을 깊이 이해하고, 마음을 바르게 훈련하며, 깨달음에 이르는 지혜를 얻을 수 있습니다.

 

**계정혜(戒定慧)**는 불교 수행의 세 가지 근본 요소를 의미하는 말입니다.

  • **계(戒)**는 도덕적인 삶을 살기 위한 규율과 훈련을 말합니다.
  • **정(定)**은 마음을 한 곳에 집중시키고 명상하는 것을 말합니다.
  • **혜(慧)**는 진리를 깨닫는 지혜를 말합니다.

계정혜는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하나를 닦으면 다른 두 가지도 함께 성장하게 됩니다.

 

**탐진치(貪瞋癡)**는 불교에서 탐욕(貪), 성냄(瞋), **어리석음(癡)**을 일컫는 말입니다.

이 세 가지 마음의 작용은 번뇌의 근본 원인으로 작용하여 우리에게 고통을 가져다줍니다.

  • **탐욕(貪)**은 무한한 욕망을 품고, 끊임없이 더 많은 것을 추구하는 마음입니다.
  • **성냄(瞋)**은 마음에 분노와 증오가 생기는 마음입니다.
  • **어리석음(癡)**은 진리를 바르게 판단하지 못하고, 무지에 빠진 마음입니다.

 

무상(無常), 고(苦), 무아(無我)는 불교의 근본적인 교리로, 세 가지 현실의 본질을 나타냅니다.

 

1. 무상(無常)

무상은 모든 것은 끊임없이 변하고 영원히 지속되는 것이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변화의 예시: 세상의 모든 것들은 생멸성을 가지고 있으며,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꽃은 피어지고 시들고, 사람은 태어나고 죽으며, 세상은 변화합니다.
  • 무상의 원인: 무상은 연기(緣起)의 법칙에 따라 모든 것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 무상에 대한 관찰: 무상을 깊이 관찰하면 우리는 세상에 대한 애착을 놓고, 진정한 평온을 얻을 수 있습니다.

2. 고(苦)

고는 모든 존재가 경험하는 고통과 괴로움을 의미합니다.

  • 고통의 종류: 신체적 고통, 정신적 고통,
  • 고통의 원인: 고통은 욕망, 무지, 집착 등에서 비롯됩니다.
  • 고통에서 벗어나는 길: 고통에서 벗어나는 길은 욕망을 버리고, 무지를 깨닫고, 집착을 놓는 것입니다.

3. 무아(無我)

무아는 영원하고 불변한 자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자아의 허상: 우리는 흔히 영원하고 불변한 자아가 존재한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허상입니다.
  • 오로지 상(相)만 존재: 우리는 육체, 감각, 인식, 행위, 의식의 다섯 가지 상(五蘊)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들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 무아를 깨닫는 것: 무아를 깨닫는 것은 진정한 자유를 얻는 것입니다.

 

 

 

**12연기법(十二緣起)**은 불교의 근본적인 교리 중 하나이며, 인간의 고통과 삶의 순환을 설명하는 법칙입니다.

12연기법의 구성

12연기법은 다음과 같은 12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요소는 서로 인과관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1. 무지(無知): 진실을 알지 못하는 상태
  2. 행(行): 무지로 인해 착한 행동을 하지 못하고, 오히려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한 나쁜 행동을 합니다.
  3. 식(識): 오한, 감각, 인식, 행위, 의식의 다섯 가지 상(五蘊)을 인식하는 마음 작용
  4. 명색(名色): 육체와 감각
  5. 촉(觸): 육체와 감각이 외부 대상과 접촉하는 것
  6. 수(受): 촉각을 경험하면서 느끼는 감정
  7. 애(愛): 탐욕, 성냄, 어리석음의 세 가지 근본적인 번뇌
  8. 취(取): 탐욕으로 인해 더 많은 것을 얻으려고 애쓰는 것
  9. 유(有): 생명, 육체, 재산 등을 가진 상태
  10. 생(生): 새로운 생명의 탄생
  11. 노(老): 나이가 들고, 늙어가는 것
  12. 사(死): 죽음

 

 

사성제(四聖諦)는 불교의 근본적인 교리로, 고통(苦), 고통의 원인(集), 고통의 소멸(滅), 고통의 소멸을 위한 길(道)의 네 가지 진리를 말합니다.

 

1. 고(苦)

**고(苦)**는 모든 존재가 경험하는 괴로움과 고통을 의미합니다.

  • 신체적 고통: 질병, 부상, 노화, 죽음 등 신체에 느끼는 고통
  • 정신적 고통: 불안, 우울, 분노, 후회 등 마음에 느끼는 고통
  • 전반적인 불만족: 현재의 상태에 대한 불만족과 부족함을 느끼는 고통

2. 집(集)

**집(集)**은 고통의 원인을 의미합니다.

  • 탐욕(貪): 무한한 욕망을 품고, 끊임없이 더 많은 것을 추구하는 마음
  • 성냄(瞋): 마음에 분노와 증오가 생기는 마음
  • 어리석음(癡): 진리를 바르게 판단하지 못하고, 무지에 빠진 마음
  • 행위(行): 무지로 인해 착한 행동을 하지 못하고, 오히려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한 나쁜 행동을 하는 것

3. 멸(滅)

**멸(滅)**은 고통의 소멸을 의미합니다.

  • 니르바나(涅槃): 모든 번뇌와 고통에서 완전히 벗어난 상태
  • 평온과 행복: 괴로움이 없고, 마음이 평온하고 행복한 상태
  • 깨달음: 모든 존재의 진실을 깨닫는 상태

4. 도(道)

**도(道)**는 고통의 소멸을 위한 길을 의미합니다.

  • 팔정도(八正道): 올바른 생각, 올바른 말, 올바른 행동, 올바른 생활, 올바른 노력, 올바른 마음챙김, 올바른 집중, 올바른 지혜로 이루어진 여덟 가지 바른 길
  • 수행: 명상, 염불, 경전 읽기 등을 통해 마음을 다스리고, 깨달음을 향해 노력하는 것
  • 번뇌 극복: 탐욕, 성냄, 어리석음과 같은 번뇌를 극복하는 것

 

 

십바라밀(十波羅蜜)이란 무엇일까요?

**십바라밀(十波羅蜜)**은 대승불교에서 보살이 깨달음을 얻기 위해 닦아야 할 열 가지 수행법을 의미합니다.

10가지 바라밀

십바라밀은 다음과 같이 10가지로 구성됩니다.

  1. 보시(布施):
    • 정의: 재물, 지식, 노력 등을 아낌없이 다른 사람들에게 베푸는 것
    • 중요성: 보시는 탐욕을 없애고, 나눔의 마음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지계(持戒):
    • 정의: 불교의 계율을 지키는 것
    • 중요성: 지계는 몸과 마음을 맑게 하고, 범죄를 막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인욕(忍辱):
    • 정의: 어려움과 고통을 참고, 용서하는 마음
    • 중요성: 인욕은 성냄을 없애고, 평온한 마음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4. 정진(精進):
    • 정의: 끊임없이 노력하고, 게으름을 버리는 것
    • 중요성: 정진은 목표를 달성하고, 깨달음을 향해 나아가는 데 도움이 됩니다.
  5. 선정(禪定):
    • 정의: 명상을 통해 마음을 집중하고, 고요한 상태에 머무는 것
    • 중요성: 선정은 마음을 다스리고, 명상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6. 반야(般若):
    • 정의: 진리를 깨닫는 지혜
    • 중요성: 반야는 무지와 어리석음을 없애고, 깨달음을 얻는 데 도움이 됩니다.
  7. 방편(方便):
    • 정의: 상황에 맞게 능숙하게 대처하는 능력
    • 중요성: 방편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지혜와 능력을 발휘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8. 원(願):
    • 정의: 모든 존재가 괴로움에서 벗어나 행복을 얻기를 바라는 마음
    • 중요성: 원은 사랑과 연민의 마음을 키우고, 보살행을 실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9. 력(力):
    • 정의: 깨달음을 얻기 위한 노력과 실천력
    • 중요성: 력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포기하지 않는 강인한 의지를 키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10. 지(智):
    • 정의: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있는 그대로 바르게 아는 지혜
    • 중요성: 지는 진리를 깨닫고, 깨달음을 얻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십지보살(十地菩薩)은 대승불교에서 보살이 석가모니 부처님과 같은 완전한 깨달음을 얻기 직전 단계에 있는 존재를 의미합니다.

십지의 경지

십지보살은 **십지(十地)**라고 불리는 열 가지 경지를 거쳐 석가모니 부처님과 같은 완전한 깨달음을 얻게 됩니다.

  1. 환희지(歡喜地): 보살이 진정한 불교에 들어섰음을 기뻐하는 단계
  2. 이구지(離垢地): 번뇌의 때를 벗고, 청정한 마음을 가진 단계
  3. 발광지(發光地): 지혜의 빛을 발하며, 다른 사람들을 가르치는 단계
  4. 염혜지(焰慧地): 지혜의 불꽃이 타오르며, 진리를 깊이 이해하는 단계
  5. 난승지(難勝地): 어떤 어려움도 이겨낼 수 있는 강인한 의지를 가진 단계
  6. 현전지(現前地): 모든 존재의 본성을 그대로 볼 수 있는 단계
  7. 원행지(遠行地): 모든 존재를 돕기 위해 먼 곳까지 여행하는 단계
  8. 부동지(不動地): 어떤 유혹에도 흔들리지 않는 단계
  9. 선지지(善慧地): 모든 것을 똑바르게 판단하고, 옳은 길을 가르치는 단계
  10. 법운지(法雲地): 불법의 구름처럼 세상 모든 곳에 가르침을 전하는 단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