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턴 명리와 천지인 story 북

패턴 명리와 천지인 story 북

신통.방통人 명리 story (사건사고)

수화상극(水火相克).수화불용(水火不用)*****고전

손비담 2025. 3. 26. 22:44

 

 

수화상극(水火相克).수화불용(水火不用)*****사자성어

유여수화(有如水火)**의 고전 설명

 

 

 

 

 

수화상극 (水火相克)과 수화불용 (水火不用) 사자성어 

 

두 사자성어 모두 오행(五行)의 상극(相克) 관계인 물(水)과 불(火)의 관계를 나타내지만, 그 의미와 강조점에 차이가 있습니다.

 

1. 수화상극 (水火相克)

  • 한자: 水 (물 수), 火 (불 화), 相 (서로 상), 克 (이길 극)
  • 직역: 물이 불을 서로 이긴다.
  • 의미: 이는 오행의 기본적인 상극 관계를 나타내는 말로, 물은 불을 끄는 속성을 가진다는 뜻입니다. 비유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서로 상반되는 성질이나 입장의 충돌: 마치 물과 불처럼 서로 융합될 수 없고 대립하는 관계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그 두 사람은 성격이 수화상극이라 매번 부딪힌다"와 같이 쓰일 수 있습니다.
    • 억제와 제압: 물이 불을 억누르고 끄듯이, 한쪽이 다른 쪽을 억제하거나 제압하는 상황을 비유할 때 사용됩니다.
    • 근본적으로 맞지 않는 관계: 서로의 본질적인 속성이 달라 조화롭게 공존하기 어려운 관계를 묘사할 때 쓰입니다.

 

2. 수화불용 (水火不用)

  • 한자: 水 (물 수), 火 (불 화), 不 (아니 불), 用 (쓸 용)
  • 직역: 물과 불을 쓰지 않는다.
  • 의미: 이는 물과 불이라는 필수적인 요소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거나,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비유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기능 마비 또는 무력화: 물과 불은 생명 유지와 활동에 필수적인 요소인데, 이것을 사용하지 못한다는 것은 어떤 기능이나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마비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 극심한 대립으로 인한 무용지물: 물과 불이 극도로 대립하여 서로를 소멸시키거나 무력화시켜 아무런 쓸모가 없게 된 상황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극단적인 이념 대립으로 인해 사회가 혼란에 빠져 아무것도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상황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 필수적인 요소의 부재 또는 부족: 삶이나 어떤 일을 이루는 데 필수적인 요소가 없거나 부족하여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는 상황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차이점 비교:

구분    수화상극 (水火相克)   수화불용 (水火不用)

 

강조점 물과 불의 상반되는 속성과 충돌, 억제 관계 물과 불이라는 필수 요소의 부재, 기능 마비, 극단적인 대립으로 인한 무용지물
의미 서로 맞지 않고 대립하는 관계 기본적인 기능이 멈추거나 활용할 수 없는 상태
예시 성격이 수화상극이라 자주 다툰다 극심한 갈등으로 인해 수화불용의 상태에 빠졌다
 

요약하자면, 수화상극은 물과 불처럼 본질적으로 어울리지 않고 대립하는 관계를 나타내는 반면,

수화불용은 물과 불이라는 필수적인 요소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거나 극단적인 대립으로 인해 아무런 쓸모가 없어진 상태를 의미합니다.

 

두 사자성어 모두 물과 불의 관계를 통해 다양한 상황을 비유적으로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유여수화(有如水火)**의 고전적인 설명을 좀 더 자세히 풀어드리겠습니다.

 

출전: 『상서(尙書)』 「감서(甘誓)」

 

원문:

若予大旱之望雲霓,民之望之,亦有如水火之望也。 (약여대한지망운예, 민지망지, 역유여수화지망야)

 

직역:

내가 큰 가뭄에 구름과 무지개를 기다리는 것처럼, 백성들이 나를 바라는 것은 또한 물과 불을 바라는 것과 같다.

고전적 배경 설명:

이 구절은 중국 하나라의 우왕(禹王)의 아들인 **계(啓)**가 자신의 군대를 이끌고 감(甘) 땅의 제후를 정벌하기 전에 한 연설인 **「감서(甘誓)」**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당시 계는 아버지 우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지만, 감 땅의 제후가 이를 불복하고 반란을 일으켰습니다. 이에 계는 군대를 동원하여 그들을 진압하려 했고, 전투에 앞서 군사들에게 자신의 출병의 정당성을 설명하고 사기를 고무하기 위해 이 연설을 했습니다.

 

구절의 의미 분석:

계는 자신의 상황을 극심한 가뭄에 구름과 무지개를 기다리는 것에 비유했습니다. 가뭄은 백성들에게 큰 고통을 주는 상황이며, 이때 구름과 무지개는 단비를 가져다줄 희망의 상징입니다.

 

마찬가지로, 백성들이 계를 바라는 마음은 물과 불을 바라는 것과 같다고 표현했습니다. 여기서 물은 가뭄을 해소해 주는 생명의 근원이며, 불은 어둠을 밝히고 추위를 녹여 주는 필수적인 존재입니다.

 

**"유여수화지망(有如水火之望)"**은 단순히 물과 불을 바라는 것이 아니라, 극도로 필요하고 간절한 존재를 바라는 마음을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백성들은 폭정을 일삼는 감 땅의 제후로부터 벗어나, 자신들을 고통에서 구원해 줄 계를 마치 목마른 사람이 물을 찾고 추위에 떠는 사람이 불을 찾는 것처럼 절실하게 기다리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유여수화의 의미 확장:

본래 이 구절에서 유여수화는 백성들의 간절한 염원을 비유하는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 의미가 확장되어, 서로 융합될 수 없을 정도로 극단적으로 대립하거나 상반되는 관계를 비유하는 표현으로 더 많이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물과 불은 오행상 상극(相克) 관계로, 서로를 소멸시키는 속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속성 때문에 유여수화는 마치 물과 불처럼 서로 도저히 화합할 수 없는 사이극단적인 적대 관계를 나타내는 데 적절한 표현이 된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고전 『상서』의 「감서」에서 유래한 유여수화는 원래 백성들의 간절한 염원을 비유하는 표현이었으나, 이후 물과 불의 상극적인 관계 때문에 극단적인 대립이나 불화의 의미로 널리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https://www.ajunews.com/view/20231219152926466

 

[중국 성어로 세상 읽기] (5) 물과 불은 상극인가? … 수화불용(水火不容) | 아주경제

* 이 글에는 영화 엘리멘탈에 스포일러가 일부 있습니다.영화 서울의 봄의 인기가 하늘을 찌르고 있다. 1068만 명이 관람한 올해 최고 인기작 범죄도시3의 기록도...

www.ajunews.com

https://pisgah.tistory.com/notice/329

 

AI-cafe (비즈니스 사주와 궁합.작명)

비즈니스 사주와 궁합 작명(AI-cafe)-  사주.운세.궁합.작명.풍수.주역점 -     을사년(乙巳年) 2025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     AI (2024년 갑진년) gpt4o***  >>>  gpt 5****.6.7***** (202

pisgah.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