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턴 명리와 천지인 story 북

패턴 명리와 천지인 story 북

역술인 AI 챗빙 바드(α.β.gamma)

주역과 정역 그리고 동학.증산도.원불교***

손비담 2024. 6. 21. 12:13

 

 

 

한국의 정역과 동학, 그리고  김항(김일부)과 최제우

 

주역의 선천과 후천 개벽에 대한 개념과 정역의 원리

 

정역(正易)과 원불교(圓佛敎)는 ..........

 

개벽과 원불교의 원리, 그들이 어떻게 상호 관련......

 

정역(正易)과 증산도(甑山道)는................

 

 

 

....................AI GPT 4O가 알려주는(지식 수준은)

 

 

각 사상의 요점을 간단히

 

주역(周易)

  • 기본 개념: 우주와 인간의 변화 원리를 설명하는 동양의 고전 경전.
  • 주요 원리: 음양(陰陽)과 64괘(卦)를 통해 자연과 인간의 상호작용을 이해.
  • 목적: 변화와 조화의 원리를 통해 인간의 삶을 예측하고 조언.

 

정역(正易)

  • 기본 개념: 김일부가 주역을 한국적 맥락에서 재해석한 철학 체계.
  • 주요 원리: 후천개벽(後天開闢)을 통해 새로운 도덕적, 사회적 질서의 도래를 예고.
  • 목적: 천지인(天地人)의 조화와 음양오행의 원리를 통한 새로운 사회 구현.

 

동학(東學)

  • 기본 개념: 최제우가 창시한 한국의 종교 운동으로, 인간의 존엄성과 민족 자주성을 강조.
  • 주요 원리: 인내천(人乃天) 사상 - 인간이 곧 하늘이라는 인간 존중의 이념.
  • 목적: 사회 개혁과 인간 평등, 민족적 자각을 통한 새로운 시대 개창.

 

개벽(開闢)

  • 기본 개념: 우주와 사회의 근본적인 변혁을 의미하는 동양 철학 개념.
  • 주요 원리: 선천(先天)에서 후천(後天)으로의 전환, 새로운 시대의 도래.
  • 목적: 새로운 도덕적, 사회적 질서의 형성 및 인간과 사회의 근본적인 변화.

 

증산도(甑山道)

  • 기본 개념: 강일순(증산 상제)가 창시한 한국의 종교로, 후천개벽과 도덕적 실천을 강조.
  • 주요 원리: 상제(上帝) 신앙과 후천개벽 사상을 통해 새로운 시대 준비.
  • 목적: 도덕적 실천과 사회 개혁을 통한 후천 세상의 도래.

 

원불교(圓佛敎)

  • 기본 개념: 박중빈(소태산 대종사)가 창시한 현대 한국 불교 종파.
  • 주요 원리: 일원상(一圓相)을 중심으로 한 삼학(三學) - 정신수양, 사리연구, 작업취사.
  • 목적: 현대 사회에서 불교의 가르침을 실천하여 개인의 깨달음과 사회적 개혁 추구.

 

 

요점만 정리하면....

  • 주역: 음양과 64괘를 통한 변화와 조화의 원리.
  • 정역: 후천개벽을 통한 새로운 도덕적, 사회적 질서.
  • 동학: 인간 존중과 민족 자주성, 사회 개혁.
  • 개벽: 새로운 시대와 사회 변혁.
  • 증산도: 상제 신앙과 후천개벽, 도덕적 실천.
  • 원불교: 일원상과 삼학을 통한 개인과 사회의 변화.

 

이 사상들은 모두 변화를 통한 새로운 시대와 사회 개혁을 강조하면서도, 각기 다른 철학적 배경과 실천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겨레

 

 

 

 

 

한국의 정역과 동학, 그리고 이와 관련된 김항(김일부)과 최제우

 

한국 정역(正易)

개요

정역은 한국 고유의 역학 체계로, 주역(周易)의 원리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한국의 철학과 사상을 반영하여 새롭게 체계화된 것입니다. 정역은 조선 후기 김항(김일부)에 의해 정립되었습니다.

주요 개념

  • 천지인(天地人) 사상: 정역은 하늘(天), 땅(地), 인간(人)이 조화를 이루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는 동양 철학에서 중요한 삼재(三才) 사상과 맞닿아 있습니다.
  • 음양오행(陰陽五行): 주역과 마찬가지로 음양과 오행의 상호작용을 기본 원리로 삼습니다. 그러나 정역은 이를 한국적 맥락에서 해석하고 적용합니다.
  • 홍익인간(弘益人間): 단군 신화의 이념으로,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한다는 뜻입니다. 정역은 이 이념을 철학적 근간으로 삼아 인간의 도덕적 실천을 중시합니다.

 

김항(김일부)

김항, 또는 김일부(1826~1898)는 조선 후기의 철학자이자 역학자입니다. 그는 주역을 한국적 맥락에서 재해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역을 체계화했습니다.

생애와 업적

  • 출생과 성장: 김항은 경상북도 영양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려서부터 한학과 역학에 깊은 관심을 보였습니다.
  • 정역 체계화: 김항은 주역을 깊이 연구한 끝에, 이를 한국적 사상과 철학을 반영하여 새롭게 체계화한 정역을 완성했습니다.
  • 철학적 기여: 그는 정역을 통해 천지인의 조화와 음양오행의 원리를 한국적 철학과 사상에 맞게 해석하여 큰 기여를 했습니다.

 

동학(東學)

개요

동학은 19세기 중반 조선에서 최제우(1824~1864)가 창시한 종교이자 사회 운동입니다. 동학은 "동방의 학문"이라는 뜻으로, 서양의 천주교에 대응하여 민족적 자주성과 신앙을 강조한 신흥 종교입니다.

주요 개념

  • 인내천(人乃天): "사람이 곧 하늘"이라는 뜻으로,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을 강조합니다.
  • 시천주(侍天主): "하느님을 모신다"는 뜻으로, 하늘과 인간이 하나 되는 신앙을 표현합니다.
  • 경천애인(敬天愛人): "하늘을 공경하고 사람을 사랑한다"는 뜻으로, 도덕적 실천과 인간애를 강조합니다.

 

최제우

최제우(1824~1864)는 동학의 창시자입니다. 그는 새로운 신앙 체계를 통해 조선 후기의 혼란한 사회를 개혁하고자 했습니다.

생애와 업적

  • 출생과 성장: 경주에서 태어난 최제우는 어려서부터 유학과 무속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 동학 창시: 1860년, 새로운 신앙 체계인 동학을 창시하여, 인내천과 시천주의 가르침을 통해 민중을 계몽하고자 했습니다.
  • 사회 개혁 운동: 동학은 단순한 종교 운동을 넘어 사회 개혁 운동으로 발전하였습니다. 이는 후에 동학농민운동으로 이어져 조선의 정치·사회 변혁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정역과 동학의 비교

공통점

  • 민족적 자주성: 둘 다 외래 사상과 종교에 대응하여 한국 고유의 철학과 신앙을 강조합니다.
  • 인간 존엄성: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을 중시하며, 도덕적 실천을 강조합니다.

차이점

  • 철학적 기반:
    • 정역: 주역을 바탕으로 한국적 철학과 사상을 재해석한 체계.
    • 동학: 천주교에 대응하여 창시된 새로운 신앙 체계로, 민중의 계몽과 사회 개혁을 목표로 함.
  • 주요 인물:
    • 정역: 김항(김일부)
    • 동학: 최제우

 

정역과 동학은 모두 19세기 조선에서 탄생한 사상 체계로, 한국 고유의 철학과 신앙을 바탕으로 민족적 자주성과 인간 존엄성을 강조합니다. 정역은 주역을 한국적 맥락에서 재해석한 철학 체계로, 김항에 의해 체계화되었습니다. 반면, 동학은 최제우가 창시한 신흥 종교로, 인내천과 시천주의 가르침을 통해 민중을 계몽하고 사회 개혁을 추구하였습니다. 이 두 체계는 조선 후기의 사회적, 철학적 변혁을 이끌며, 오늘날까지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정역(正易)은 주역(周易)의 원리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조선 후기 김항(김일부)에 의해 새롭게 체계화된 한국 고유의 역학 체계입니다. 정역은 주역의 선천(先天)과 후천(後天) 개벽의 원리를 한국적 철학과 사상에 맞게 재해석하여 독자적인 이론을 형성하였습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 주역의 선천과 후천 개벽에 대한 개념과 정역의 원리를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주역의 선천과 후천 개벽

선천(先天)

  • 개념: 선천은 우주와 자연의 원초적 질서를 의미합니다. 이는 모든 것이 시작되기 전의 상태로, 태극(太極)에서 음양이 분리되기 이전의 근원적인 상태를 나타냅니다.
  • 팔괘(八卦): 선천의 팔괘는 복희(伏羲)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 하늘(天)을 상징하는 건(乾)과 땅(地)을 상징하는 곤(坤)이 중심에 위치합니다.
  • 의미: 선천은 창조와 시작을 상징하며, 모든 존재와 현상의 근원적인 상태를 설명합니다.

후천(後天)

  • 개념: 후천은 선천의 질서가 분화하고 발전한 상태로, 실제 세계에서의 변화와 발전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로 문왕(文王)에 의해 도출된 팔괘로 표현됩니다.
  • 팔괘: 후천의 팔괘는 선천의 팔괘와 달리, 하늘(건)은 북서쪽에, 땅(곤)은 남서쪽에 위치하는 등 위치가 달라집니다.
  • 의미: 후천은 변화와 성장을 상징하며, 현실 세계에서의 인간의 활동과 변화를 설명합니다.

 

정역(正易)의 원리

정역은 주역의 선천과 후천 개벽의 원리를 바탕으로 하여, 이를 한국적 철학과 사상에 맞게 재해석한 것입니다. 정역은 특히 천지인의 조화와 음양오행의 원리를 강조합니다.

천지인(天地人) 사상

  • 천(天): 하늘, 즉 자연의 질서와 법칙을 상징합니다.
  • 지(地): 땅, 즉 환경과 자원의 조화를 의미합니다.
  • 인(人): 인간, 즉 사람의 도덕성과 사회적 역할을 강조합니다.
  • 조화와 균형: 정역에서는 천지인 삼재(三才)가 조화롭게 상호작용해야 이상적인 상태가 이루어진다고 봅니다. 이는 우주의 원리와 인간 사회의 원리가 일치함을 의미합니다.

음양오행(陰陽五行)

  • 음양(陰陽): 우주의 모든 현상은 음(陰)과 양(陽)의 상호작용으로 설명됩니다. 이는 주역의 기본 원리와 일치합니다.
  • 오행(五行):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의 다섯 가지 요소가 상호작용하여 세상의 모든 변화를 설명합니다.
  • 변화와 발전: 정역에서는 음양과 오행의 원리가 천지인과 결합하여 현실 세계의 변화와 발전을 설명합니다.

 

김항(김일부)의 정역 체계화

김항은 주역의 원리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이를 한국적 철학과 사상에 맞게 재해석하여 정역을 체계화했습니다. 그는 특히 천지인 사상과 음양오행의 원리를 강조하였고, 이를 통해 인간의 도덕적 실천과 사회적 변화를 설명하려 했습니다.

주요 원리

  • 후천개벽(後天開闢): 김항은 후천개벽을 통해 새로운 시대가 도래한다고 보았습니다. 이는 선천의 질서가 후천으로 전환되면서 새로운 사회적, 도덕적 질서가 형성된다는 의미입니다.
  • 홍익인간(弘益人間): 정역은 단군 신화의 이념인 홍익인간을 철학적 근간으로 삼아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하고자 합니다.
  • 자연과 인간의 조화: 정역에서는 자연의 법칙과 인간의 도덕성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봅니다. 이는 현실 세계에서의 인간의 역할과 책임을 강조합니다.

 

정역은 주역의 선천과 후천 개벽의 원리를 한국적 철학과 사상에 맞게 재해석한 독자적인 체계입니다. 김항(김일부)은 천지인의 조화와 음양오행의 원리를 통해 인간의 도덕적 실천과 사회적 변화를 설명하려 했습니다. 이는 주역의 원리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한국의 고유한 사상과 철학을 반영하여 독특한 이론을 형성한 것입니다. 정역은 한국의 철학적, 종교적 전통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오늘날까지도 그 의미와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

 

 

정역(正易)과 원불교(圓佛敎)는 각각 한국의 독자적인 철학 체계와 종교로, 여러 면에서 서로 관련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특히, 두 사상은 모두 20세기 초에 민족적 자주성과 사회 개혁을 강조하면서 등장하였으며, 음양오행, 도덕적 실천, 사회적 윤리 등을 중요한 요소로 다루고 있습니다.

 

 

정역(正易)

개요

정역은 김항(김일부)이 주역(周易)을 한국적 맥락에서 재해석하여 체계화한 역학 체계입니다. 천지인(天地人) 사상과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원리를 강조하며, 선천(先天)에서 후천(後天)으로의 전환을 통해 새로운 시대와 사회 변화를 예고합니다.

주요 개념

  • 후천개벽: 선천의 질서가 후천으로 전환되어 새로운 사회적, 도덕적 질서가 형성된다는 사상.
  • 홍익인간: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한다는 이념을 중시.
  • 천지인 조화: 하늘, 땅, 인간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철학적 원리.

 

원불교(圓佛敎)

개요

원불교는 1916년 박중빈(소태산 대종사)에 의해 창시된 종교로, 불교의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사회 개혁과 개인의 정신적 수양을 중시합니다. 원불교는 불교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시대적 요구에 맞게 새로운 교리를 정립하였습니다.

주요 개념

  • 일원상(一圓相): 우주의 근본이자 진리의 상징인 원(圓)을 중심으로 삼는 신앙.
  • 삼학(三學): 정신수양, 사리연구, 작업취사를 통한 개인의 수양과 사회적 실천을 강조.
  • 사은(四恩): 하늘과 땅, 부모, 동포, 법률에 대한 네 가지 은혜를 강조하며, 사회적 윤리를 중시.

 

정역과 원불교의 관련성

공통점

  1. 민족적 자주성: 두 사상 모두 외래 사상이나 종교에 대응하여 한국 고유의 철학과 신앙을 강조합니다.
  2. 사회 개혁과 도덕적 실천: 사회적 윤리와 도덕적 실천을 중시하며, 개인의 도덕성과 사회적 책임을 강조합니다.
  3. 변화와 발전: 정역의 후천개벽과 원불교의 삼학은 모두 변화와 발전을 통해 이상적인 사회를 실현하고자 합니다.

차이점

  1. 철학적 기반:
    • 정역: 주역을 기반으로 하여 천지인의 조화와 음양오행의 원리를 강조합니다.
    • 원불교: 불교의 교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일원상, 삼학, 사은 등의 교리를 중심으로 삼습니다.
  2. 주요 인물:
    • 정역: 김항(김일부)
    • 원불교: 박중빈(소태산 대종사)

 

구체적인 관련성

 

천지인 조화와 일원상

  • 천지인 조화: 정역에서는 하늘, 땅, 인간의 조화를 강조하여 우주와 인간의 조화로운 관계를 중시합니다.
  • 일원상: 원불교에서는 일원상을 통해 우주의 근본이자 진리를 상징하며, 모든 존재가 일체임을 강조합니다. 두 개념 모두 우주와 인간의 통합적 이해를 추구합니다.

사회적 윤리와 사은

  • 정역: 홍익인간 사상을 통해 인간의 도덕적 실천과 사회적 책임을 강조합니다.
  • 원불교: 사은을 통해 하늘, 땅, 부모, 동포, 법률에 대한 은혜를 강조하며, 사회적 윤리를 중시합니다.

후천개벽과 삼학

  • 후천개벽: 정역에서는 선천에서 후천으로의 전환을 통해 새로운 사회적, 도덕적 질서를 예고합니다.
  • 삼학: 원불교에서는 정신수양, 사리연구, 작업취사를 통해 개인의 수양과 사회적 실천을 강조합니다. 이는 변화와 발전을 통한 이상적인 사회 구현을 목표로 합니다.

결론

정역과 원불교는 각각 한국의 독자적인 철학 체계와 종교로서, 음양오행, 도덕적 실천, 사회적 윤리 등의 요소에서 공통점을 가지며, 민족적 자주성과 사회 개혁을 중시하는 점에서도 관련성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철학적 기반과 구체적인 교리, 주요 인물 등의 차이로 인해 각기 다른 체계와 특색을 가지고 발전해왔습니다.

 

 

 

.................................

 

 

 

개벽과 원불교의 원리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개념을 먼저 정의하고, 그들이 어떻게 상호 관련되고, 어떤 철학적 원리를 공유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개벽의 개념

정의

개벽(開闢)은 전통적으로 "하늘과 땅이 열리고 처음 시작된 때"를 의미합니다. 이는 대개 새로운 시대나 새로운 질서가 시작되는 중요한 변화를 뜻합니다. 동양 철학에서 개벽은 주로 선천(先天)과 후천(後天)의 변화를 통해 설명됩니다.

 

주역(周易)에서의 개벽

  • 선천(先天): 우주의 근원적인 질서와 원리를 상징하며, 초기 상태의 완전한 조화를 나타냅니다.
  • 후천(後天): 시간이 흐르면서 현실 세계에서의 변화와 발전을 의미합니다. 이는 인간의 삶과 사회의 변화와 성장을 반영합니다.

 

한국 철학에서의 개벽

  • 정역(正易): 김항(김일부)에 의해 체계화된 정역은 선천과 후천 개벽의 원리를 바탕으로 새로운 시대와 사회 변화를 예고합니다. 특히 후천개벽을 통해 새로운 도덕적, 사회적 질서가 형성된다는 사상을 강조합니다.

 

원불교의 원리

 

정의

원불교(圓佛敎)는 1916년 박중빈(소태산 대종사)에 의해 창시된 한국의 현대적 불교 종교 운동입니다. 원불교는 전통 불교의 가르침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개인의 정신적 수양과 사회적 개혁을 중시합니다.

주요 개념

  • 일원상(一圓相): 원불교 신앙의 중심이자 우주의 진리를 상징하는 상징입니다. 모든 존재의 근본을 하나의 원으로 표현하며, 일체성을 강조합니다.
  • 삼학(三學): 원불교의 수행 방법으로 정신수양, 사리연구, 작업취사를 포함합니다.
    • 정신수양: 마음을 닦아 본성을 밝히는 것.
    • 사리연구: 진리를 탐구하고 깨닫는 것.
    • 작업취사: 올바른 행동을 통해 삶을 개선하는 것.
  • 사은(四恩): 하늘, 땅, 부모, 동포, 법률에 대한 네 가지 은혜를 강조하며, 감사와 보은의 실천을 중시합니다.
  • 팔조목(八條目): 원불교의 교리를 구성하는 여덟 가지 원칙으로, 구체적인 실천 지침을 제공합니다.

 

개벽과 원불교의 상호 관련성

 

변화와 새로운 질서

  • 후천개벽: 개벽 사상에서 후천개벽은 새로운 시대와 사회 질서를 예고하며, 도덕적 실천과 사회적 변화를 강조합니다.
  • 원불교의 개혁 정신: 원불교는 불교의 전통적인 교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새로운 사회적 윤리와 도덕적 실천을 강조하여 사회 개혁을 추구합니다.

인간과 우주의 조화

  • 천지인 조화: 개벽 사상에서 천지인(天地人)의 조화는 우주와 인간의 조화로운 관계를 의미합니다.
  • 일원상: 원불교의 일원상은 모든 존재의 근본을 하나의 원으로 상징하며, 우주와 인간의 일체성을 강조합니다.

도덕적 실천과 사회적 책임

  • 홍익인간: 정역의 개벽 사상에서 홍익인간은 인간의 도덕적 실천과 사회적 책임을 강조합니다.
  • 사은: 원불교의 사은은 하늘, 땅, 부모, 동포, 법률에 대한 은혜를 강조하며, 사회적 윤리를 중시합니다.

수행과 깨달음

  • 정역의 도덕적 실천: 개벽 사상은 도덕적 실천과 개인의 수양을 중시합니다.
  • 삼학: 원불교의 삼학은 정신수양, 사리연구, 작업취사를 통해 개인의 수양과 사회적 실천을 강조합니다.

 

구체적인 비교

  1. 철학적 기반:
    • 개벽: 주역의 원리를 바탕으로 선천과 후천 개벽을 통해 새로운 시대와 질서를 설명합니다.
    • 원불교: 불교의 교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새로운 사회적 윤리와 도덕적 실천을 강조합니다.
  2. 변화와 발전:
    • 후천개벽: 정역의 후천개벽은 새로운 도덕적, 사회적 질서를 형성하는 변화를 예고합니다.
    • 삼학: 원불교의 삼학은 개인의 수양과 사회적 실천을 통해 변화와 발전을 추구합니다.
  3. 인간과 우주의 관계:
    • 천지인 조화: 개벽 사상은 하늘, 땅, 인간의 조화를 강조합니다.
    • 일원상: 원불교는 모든 존재의 근본을 하나의 원으로 상징하여 우주와 인간의 일체성을 강조합니다.
  4. 사회적 윤리와 도덕적 실천:
    • 홍익인간: 정역의 개벽 사상은 인간의 도덕적 실천과 사회적 책임을 강조합니다.
    • 사은: 원불교의 사은은 네 가지 은혜를 통해 사회적 윤리를 중시합니다.

 

개벽과 원불교는 한국의 독자적인 철학 체계와 종교로서, 변화와 발전, 인간과 우주의 조화, 도덕적 실천과 사회적 책임 등을 중요한 원리로 공유합니다. 정역의 후천개벽 사상과 원불교의 개혁 정신은 새로운 시대와 질서를 형성하는 변화를 추구하며, 개인의 수양과 사회적 실천을 강조합니다. 두 사상은 모두 민족적 자주성과 사회 개혁을 중시하며, 현대 사회에서도 그 의미와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

 

 

정역(正易)과 증산도(甑山道)는 각각 한국의 독자적인 철학 체계와 종교로, 여러 면에서 관련성을 가지면서도 독특한 차이를 지닙니다. 두 사상 모두 한국의 전통 사상과 민족주의적 요소를 강조하며, 사회 개혁과 인간의 도덕적 실천을 중시합니다. 아래에서 두 사상의 주요 개념과 원리, 그리고 그들의 관련성을 살펴보겠습니다.

 

 

정역(正易)

정의

정역은 조선 후기의 철학자 김항(김일부)에 의해 체계화된 철학으로, 주역(周易)을 기반으로 하여 천지인(天地人)의 조화와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원리를 강조합니다. 정역은 특히 후천개벽(後天開闢)을 통해 새로운 시대와 사회 질서를 예고합니다.

주요 개념

  • 천지인(天地人) 조화: 하늘, 땅, 인간의 조화를 강조하여 우주와 인간의 통합적 이해를 추구합니다.
  • 음양오행(陰陽五行): 우주의 모든 현상은 음양과 오행의 상호작용으로 설명됩니다.
  • 후천개벽(後天開闢): 선천에서 후천으로의 전환을 통해 새로운 도덕적, 사회적 질서가 형성된다는 사상.
  • 홍익인간(弘益人間):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하는 이념을 중시합니다.

 

증산도(甑山道)

정의

증산도는 19세기 말 증산 강일순(姜一淳)에 의해 창시된 종교로, 우주의 질서와 인간 사회의 조화를 강조하며, 도덕적 실천과 사회 개혁을 중시합니다. 증산도는 후천개벽과 상제(上帝) 사상을 중심으로 한 교리를 전개합니다.

주요 개념

  • 상제(上帝): 우주와 자연을 주재하는 절대적 존재로, 모든 것을 주관하는 신적 존재로 숭배합니다.
  • 후천개벽(後天開闢): 현재의 선천 세상이 끝나고 새로운 후천 세상이 열린다는 사상으로, 새로운 시대의 도래와 변혁을 예고합니다.
  • 도덕적 실천: 인간의 도덕성과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시대를 준비합니다.
  • 치성(致誠): 정성을 다해 신에게 기도하고 예배하는 행위로, 도덕적 수양과 사회적 실천의 일환으로 수행됩니다.

 

정역과 증산도의 관련성

공통점

  1. 후천개벽 사상: 두 사상 모두 선천에서 후천으로의 전환을 통해 새로운 시대와 사회 질서를 예고합니다.
    • 정역: 후천개벽을 통해 새로운 도덕적, 사회적 질서가 형성된다는 사상.
    • 증산도: 현재의 선천 세상이 끝나고 후천 세상이 열린다는 사상으로, 새로운 시대의 도래와 변혁을 강조합니다.
  2. 도덕적 실천과 사회 개혁: 인간의 도덕성과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며, 사회 개혁을 중시합니다.
    • 정역: 홍익인간 사상을 통해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하고, 도덕적 실천을 중시합니다.
    • 증산도: 도덕적 실천을 통해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고, 사회적 변화를 촉진합니다.
  3. 민족적 자주성과 전통 사상: 한국의 전통 사상과 민족주의적 요소를 강조합니다.
    • 정역: 한국적 철학과 사상을 바탕으로 주역을 재해석합니다.
    • 증산도: 한국의 전통 신앙과 사상을 바탕으로 새로운 종교를 창시합니다.

차이점

  1. 철학적 기반:
    • 정역: 주역과 천지인 사상, 음양오행의 원리를 기반으로 하여 철학적 체계를 구축합니다.
    • 증산도: 상제 사상과 후천개벽 사상을 중심으로 한 종교적 교리를 형성합니다.
  2. 주요 인물:
    • 정역: 김항(김일부)
    • 증산도: 증산 강일순(姜一淳)
  3. 신앙의 대상:
    • 정역: 천지인의 조화와 음양오행을 중시하며, 철학적 원리를 탐구합니다.
    • 증산도: 상제(上帝)를 숭배하며, 신적 존재에 대한 신앙을 강조합니다.

 

 

정역과 증산도는 모두 한국의 독자적인 철학 체계와 종교로, 후천개벽 사상과 도덕적 실천, 사회 개혁을 중시합니다. 두 사상은 한국의 전통 사상과 민족주의적 요소를 강조하며, 새로운 시대와 사회 변화를 예고합니다.

  • 정역은 주역의 원리를 기반으로 하여 천지인 조화와 음양오행의 원리를 강조하며, 철학적 체계를 구축합니다.
  • 증산도는 상제 사상과 후천개벽 사상을 중심으로 한 종교적 교리를 형성하며, 신적 존재에 대한 신앙과 도덕적 실천을 강조합니다.

이와 같이, 정역과 증산도는 서로 다른 배경과 철학적 기반을 가지면서도, 한국적 맥락에서 새로운 시대와 사회 변화를 추구하는 공통된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https://www.hani.co.kr/arti/well/news/940446.html

http://m.kwangju.co.kr/article.php?aid=1709938800765409026&page=1

https://www.jjan.kr/article/20150426546578

 

 

정역은 인간존중, 인간완성 추구

<정역>(正易> 연구가인 최영성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무형유산학과 교수가 일부 김항의 <정역>은 유학으로 시작했으니 우리 민족 고유사상인 풍류도를 계승해 동방사상을 낳았다고 분석했다. 이

www.hani.co.kr

 

 

“동학 등 ‘K사상’, 세계에 내놓을 고유의 자산”

“하늘과 땅이 처음 열린 ‘선천개벽’같은 물리적 현상이 아니라, 사람과 정신과 마음에 일어나는 근본적 변화와 더불어 새로운 세상이 열리는 대변혁을 ‘후천개벽’으로 규정하고 추진한

m.kwangju.co.kr

 

 

원불교 100년…정신 개벽 실천한다

원불교가 세상에 등장한지 100년을 맞았다. 원불교는 개교(開敎) 100년을 맞아 최대경축일인 대각개교절 주간에 다양한 각종 행사를 개최한다.28일 오전 10시에는 익산 중앙총부를 비롯해 국내외 7

www.jjan.kr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594834

 

'후천개벽'의 새세상 열고자

[김삼웅의 ‘동학혁명과 김개남장군‘ / 12회] 최제우가 추구한 개벽은 어떤 세상일까

www.ohmynews.com

http://www.jsisa.net/news/articleView.html?idxno=50474

 

정읍 땅에서 탄생된 증산도 강증산 교조의 생애와 사상 - 정읍시사

[기고] 정읍시내에서 이평면 방향으로 가는 지방도를 따라 덕천면 소재지를 조금 지나면 덕천면 신월리 신송마을 입구에 ‘강증산 상제님 탄강지’라는 나무 푯말이 오래전에 있었다. 증산도는

www.jsisa.net

https://www.hani.co.kr/arti/well/people/940381.html

 

동양철학자 이동준교수의 시대관

“상극시대 끝내고 상생 시대 열때다” 정신문화연구원장 지낸 한국유학계 거장 류승국이 가장 그리워한 인물 주역을 코페르니쿠스적으로 전환한 조선 말 김일부의 정역 보고 한글학자에서 철

www.hani.co.k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