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턴 명리와 천지인 story 북

패턴 명리와 천지인 story 북

동.서양의 만남 (AGI.사주팔자.점술)

불교 수행 다양한 방법 . 경주 골굴사 선무도(禪武道)*****소림 수행#

손비담 2025. 5. 13. 08:46
반응형

불교수행 다양한 방법(경주 골굴사 선무도(禪武道))*****소림 수행#

불교 수행의 종류와 방법(각종.여러가지.다양한)

경주 골굴사 선무도 수행은 어떤 맥락으로

 

 

 

 

불교 수행의 종류와 방법(각종.여러가지.다양한)

 
 
 

불교 수행은 궁극적으로 번뇌를 소멸하고 지혜를 증득하여 해탈에 이르는 것을 목표로 하며, 그 방법은 종파와 개인의 근기(根機)에 따라 매우 다양하고 여러 가지 접근 방식을 포함합니다. 크게는 정(定)·혜(慧)·계(戒) 삼학(三學)을 바탕으로 하며, 이는 곧 마음을 안정시키고(정), 지혜를 개발하며(혜), 윤리적 삶을 실천하는(계) 것을 의미합니다.

다음은 불교 수행의 주요 종류와 방법들입니다.


불교 수행의 종류와 방법 (다양한 접근)

 

1. 명상 수행 (禪定修行 - Samatha & Vipassana) 마음을 집중하고 통찰력을 개발하는 수행의 핵심입니다.

  • 지관(止觀) 수행:
    • 지(止, 사마타/奢摩他 - Samatha): 마음을 한 대상에 고정하여 번뇌를 멈추고 산란함을 가라앉히는 수행입니다. 들숨과 날숨을 관찰하는 수식관(數息觀), 부처님의 덕을 생각하는 염불(念佛) 등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마음의 평온과 집중력(定力)을 얻습니다.
    • 관(觀, 위빠사나/毘鉢舍那 - Vipassanā): 지(止)를 통해 얻은 집중력을 바탕으로 사물의 본질(무상, 고, 무아 등)을 있는 그대로 통찰하는 수행입니다. 현상과 마음의 움직임을 객관적으로 관찰하며 번뇌의 뿌리를 뽑아 지혜를 개발합니다.
  • 선(禪) 수행:
    • 간화선(看話禪): 화두(話頭)라는 의심 덩어리를 참구하여 언어와 사고의 한계를 넘어 깨달음에 이르는 한국 불교 조계종의 대표적인 수행법입니다. "이뭣고(이것이 무엇인고)", "부모미생전 본래면목(父母未生前 本來面目)" 등의 화두를 들고 끊임없이 의심합니다.
    • 묵조선(默照禪): 말없이 고요히 앉아 마음을 비우고 본래의 자성(自性)을 비추어 깨달음에 이르는 수행법입니다. 외부의 대상을 관조하고 자신의 마음을 관찰합니다.
    • 염불선(念佛禪): 염불을 하면서도 화두를 참구하듯이 염불하는 마음이 무엇인지 또는 염불 소리가 어디서 오는지 깊이 의심하여 깨달음에 이르는 선법입니다.

 

2. 지혜 개발 수행 (智慧開發修行) 경전 학습과 교리 연구, 사유 등을 통해 올바른 지혜를 얻는 수행입니다.

  • 경전 학습 및 교리 연구: 불교 경전(수트라), 논서(아비달마), 주석서 등을 읽고 연구하여 부처님의 가르침을 정확히 이해하고 바른 견해를 확립합니다. 이는 지혜(般若)를 얻는 근간이 됩니다.
  • 사유(思惟) 수행: 배운 교리를 자신의 삶과 현상에 비추어 깊이 생각하고 분석하며 통찰하는 과정입니다. 단순히 아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것이 자신의 삶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경험되는지 성찰합니다.
  • 팔정도(八正道) 중 정견(正見), 정사유(正思惟): 바른 견해를 가지고 바르게 사유하는 것은 모든 수행의 출발점입니다.

 

3. 윤리적 실천 수행 (倫理的實踐修行) 계율을 지키고 자비로운 행동을 실천함으로써 마음을 청정히 하고 덕을 쌓는 수행입니다.

  • 계율(戒律) 준수: 오계(不殺生, 不偸盜, 不邪淫, 不妄語, 不飲酒), 십선계(十善戒), 보살계(菩薩戒), 비구/비구니의 구족계 등 다양한 계율을 엄격히 지켜 몸과 입과 마음을 청정하게 합니다.
  • 자비행(慈悲行) 실천: 모든 생명에 대한 자비심을 기르고, 고통받는 이들을 돕고, 사회에 공헌하는 활동을 합니다. 보시(布施), 지계(持戒), 인욕(忍辱), 정진(精進), 선정(禪定), 지혜(智慧)의 육바라밀(六波羅蜜) 실천을 통해 보살도를 구현합니다.
  • 팔정도(八正道) 중 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 바른 말, 바른 행동, 바른 생활 방식을 통해 윤리적인 삶을 삽니다.

 

4. 신행 및 공덕 쌓는 수행 (信行 및 功德修行) 부처님에 대한 신심을 기반으로 다양한 의례와 봉사 활동을 통해 공덕을 쌓는 수행입니다.

  • 예불(禮佛) 및 절(五體投地) 수행: 부처님께 예경하고 절을 올리며 겸손한 마음을 기르고 하심(下心)을 실천합니다. 수천, 수만 배의 절 수행은 신체 단련과 함께 마음의 잡념을 제거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 공양(供養) 및 보시(布施): 삼보(三寶: 부처님, 가르침, 승가)와 어려운 이웃에게 재물이나 재능, 시간을 베푸는 행위입니다. 물질적 보시 외에도 법보시(法布施, 진리를 전하는 것)와 무외시(無畏施, 두려움을 없애주는 것)가 있습니다.
  • 독경(讀經) 및 염불(念佛): 부처님의 가르침이 담긴 경전을 소리 내어 읽거나, 부처님(예: 아미타불), 보살(예: 관세음보살), 주문(예: 육자진언)의 명호를 반복적으로 부르며 마음을 집중하고 공덕을 쌓습니다.
  • 순례(巡禮) 및 탑돌이: 불교 성지나 유적지를 찾아 참배하며 불보살의 원력과 발자취를 느끼고 신심을 고취합니다.

 

5. 일상생활 수행 (日常生活修行) 특별한 장소나 시간을 정하지 않고, 일상 속 모든 순간을 수행의 장으로 삼는 방법입니다.

  • 행주좌와 어묵동정(行住坐臥 語默動靜): 걷고, 머물고, 앉고, 눕는 모든 행위와 말하고 침묵하고 움직이고 고요히 있는 모든 순간에 마음챙김(mindfulness)을 유지하며 수행합니다.
  • 간결하고 자족하는 삶: 물질적 욕심을 줄이고 소박하게 살며, 현재 자신에게 주어진 것에 만족하는 마음을 기릅니다.

이처럼 불교 수행은 좌선을 통한 고요함 속의 통찰부터, 경전 연구, 자비로운 행동, 신심 기반의 의례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며, 이 모든 방법들은 서로 연결되어 궁극적인 깨달음과 고통으로부터의 해방을 지향합니다. 수행자는 자신의 성향과 단계에 맞는 방법을 선택하거나 여러 방법을 병행하며 정진합니다.

 

 

반응형

 

 

경주 골굴사 선무도 수행은 어떤 맥락

 
 

앞서 불교 수행의 다양한 종류와 방법을 설명해 드렸습니다. 그중에서도 경주 골굴사의 **선무도(禪武道)**는 독특한 맥락과 특징을 가진 불교 수행법입니다.


 

경주 골굴사 선무도 수행의 맥락

 

1. 선무도란 무엇인가? 선무도(禪武道)는 '참선(禪)을 하는 무술(武術)'이라는 뜻으로, **불교 금강영관(佛敎金剛靈觀)**이라고도 불리는 한국 전통의 불교 무예이자 수행법입니다. 단순히 몸을 단련하는 무술을 넘어, 움직임을 통한 선(禪) 수행을 지향합니다.

  • 기원 및 역사: 선무도는 신라 시대 화랑들에게 전해지던 불교 무예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으나, 현대적으로는 1960년대 양익(兩翼) 스님이 흩어진 관법수련을 체계화하여 승가에 전수하였고, 1970년대에 이를 전수받은 적운(寂雲) 스님이 1985년부터 대중 포교를 위해 '선무도'라는 이름으로 보급하면서 널리 알려졌습니다.
  • 특징:
    • 정혜쌍수(定慧雙修)의 움직이는 수행: 앉아서 하는 좌선(정)뿐만 아니라, 몸을 움직이는 동적인(動的) 수행을 통해 마음의 고요함(정)과 통찰력(혜)을 동시에 얻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부처님의 수행 방법 중 하나인 사마타(止)와 위빠사나(觀)를 움직임 속에서 함께 닦는 방식으로 이해됩니다.
    • 몸과 마음의 조화: 불교에서는 심신불이(心身不二)라 하여 몸과 마음이 둘이 아님을 강조합니다. 선무도는 몸을 다스려 마음을 다스리고, 마음을 통해 몸을 다스리는 상호작용을 중시합니다. 몸을 유연하고 강하게 단련하는 것이 흐트러진 마음을 바로잡는 데 도움이 된다고 봅니다.
    • 수행 방법: 선 요가(유연성 및 몸 풀기), 좌관법(좌선), 입관법(서서 하는 명상), 행관법(움직이는 명상), 권법(권법 동작) 등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수련 방법을 포함합니다. 호흡 조절(조식)과 몸의 자세(조신), 마음의 평정(조심)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2. 경주 골굴사와 선무도 경주 골굴사(骨窟寺)는 선무도의 총본산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한국의 소림사"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 역사적 배경: 골굴사는 신라 6세기경 인도에서 온 광유 선인 일행이 창건한 국내 유일의 인공 석굴사원으로, 마애여래좌상을 비롯한 석굴 법당들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고요한 석굴 환경은 예로부터 깊은 수행을 위한 도량 역할을 해왔습니다.
  • 선무도 전승의 중심: 적운 스님에 의해 선무도가 대중화된 이후, 골굴사는 선무도 수련의 중심지가 되었습니다. 국내외 많은 사람들이 선무도를 배우기 위해 골굴사를 찾고 있으며, 상설 선무도 공연과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통해 일반인과 외국인들에게도 선무도를 체험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템플스테이와 결합: 골굴사의 선무도 템플스테이는 참여자들이 직접 선무도를 배우고 체험하며, 신체 단련과 함께 마음의 평화, 자기 성찰의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템플스테이를 통해 한국 불교 문화를 체험하는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3. 불교 수행의 맥락에서의 선무도 선무도는 앞서 언급된 불교 수행의 다양한 종류 중 특히 '몸을 통한 지관(止觀) 수행''지혜 개발 수행'과 '윤리적 실천 수행'이 통합된 형태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동적 명상: 앉아서 하는 정적인 좌선이 익숙하지 않거나 어려운 현대인들에게 몸을 움직이면서도 마음을 집중하고 통찰력을 얻는 새로운 명상 방편을 제공합니다. 이는 '행주좌와 어묵동정(行住坐臥 語默動靜)'의 일상생활 속 마음챙김 수행을 보다 적극적인 신체 활동으로 확장한 것입니다.
  • 호국 불교 정신 계승: 과거 승병(僧兵)들의 활동에서 볼 수 있듯이, 불교 무예는 단순히 개인의 수행을 넘어 국가를 호위하고 중생을 보호하는 호국 불교의 맥락과도 연결됩니다. 선무도 역시 이러한 호국 불교의 정신을 현대적으로 계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대중 포교의 방편: 적운 스님이 선무도를 '대중 포교'를 위해 널리 보급했듯이, 선무도는 전통 불교 수행이 어렵고 멀게 느껴질 수 있는 일반 대중에게 불교의 가르침과 수행의 가치를 몸을 통해 쉽게 접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효과적인 방편이 됩니다.

 

결론적으로, 경주 골굴사의 선무도 수행은 전통 불교의 정혜쌍수 사상을 바탕으로 몸과 마음을 동시에 단련하는 역동적인 수행법이며, 고요한 산사의 전통적인 수행 방식을 넘어 현대인들에게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하고 불교를 널리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807021173797029

 

외국인에게 더 유명… “골굴사 템플스테이 원더풀” | 한국일보

 

www.hankookilbo.com

https://pisgah.tistory.com/notice/329

 

AI-cafe (비즈니스 사주와 궁합.작명)

비즈니스 사주와 궁합 작명(AI-cafe)-  사주.운세.궁합.작명.풍수.주역점 -     을사년(乙巳年) 2025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     AI (2024년 갑진년) gpt4o***  >>>  gpt 5****.6.7***** (202

pisgah.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