윷놀이와 윷점(상중하괘) 그리고 설날 전통 민속놀이****
일반적으로 말하는 윷점은 사점(柶占)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윷을 세 차례 던져 각각을 상괘/중괘/하괘로 하여 111~444의 64괘로 되어 있는 점괘를 뽑아 운수를 보는 것이다.
이때 도는 1, 개는 2, 걸은 3, 윷과 모는 4로 놓아 괘를 뽑는다.
예를 들어, 도가 세 번 연속으로 나오면(도도도) 건괘로 봐서 111의 점괘를 얻는데,
이는 “어린아이가 인자한 어머니를 만난다(아견자모; 兒見慈母)”는 괘로 길하다.
그 외의 괘들은 다음과 같으며,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해당 괘들을 통한 사주 풀이는 대체로 주역의 64괘를 참조한다.
윷놀이와 윷점
윷놀이와 윷점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윷놀이는 한국의 전통 민속놀이 중 하나로, 특히 설날에 온 가족이 모여 즐기는 대표적인 놀이입니다. 이와 함께 윷점을 통해 한 해의 운세를 점치는 풍습도 전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1. 윷놀이:
기원: 윷놀이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삼국시대 이전부터 시작되었다는 설이 유력합니다. 농경 사회에서 풍요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고 추정됩니다.
놀이 도구: 윷놀이에는 윷, 윷판, 말 등이 필요합니다.
윷: 밤나무, 박달나무 등으로 만든 4개의 나무 막대기입니다. 각각의 면은 평평한 면과 둥근 면으로 되어 있으며, 던졌을 때 나오는 면의 조합에 따라 '도', '개', '걸', '윷', '모'가 결정됩니다.
윷판: 윷을 던져 말을 움직이는 판입니다. 보통 네모난 모양이며, 윷말이 움직이는 길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말: 윷판 위에서 움직이는 말로, 각 팀마다 여러 개의 말을 가지고 게임을 진행합니다.
놀이 방법:
두 팀 또는 그 이상으로 나누어 진행합니다.
각 팀은 번갈아 윷을 던져 나온 결과에 따라 말을 윷판 위에서 움직입니다.
윷의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도(돼지): 평평한 면이 1개, 둥근 면이 3개 나온 경우. 한 칸 전진합니다.
개(개): 평평한 면이 2개, 둥근 면이 2개 나온 경우. 두 칸 전진합니다.
걸(양): 평평한 면이 3개, 둥근 면이 1개 나온 경우. 세 칸 전진합니다.
윷(소): 평평한 면이 4개 나온 경우. 네 칸 전진하고 한 번 더 던질 기회를 얻습니다.
모(말): 둥근 면이 4개 나온 경우. 다섯 칸 전진하고 한 번 더 던질 기회를 얻습니다.
자기 팀의 말이 상대 팀의 말을 잡으면, 잡힌 말은 처음 자리로 돌아가야 합니다.
모든 말을 윷판에서 가장 먼저 내보내는 팀이 승리합니다.
2. 윷점:
의미: 윷점은 윷놀이를 이용하여 한 해의 운세를 점치는 행위입니다. 윷놀이가 놀이로 정착되기 이전에는 주술적인 의미가 강했다고 전해집니다.
점치는 방법:
보통 정초(설날)에 윷을 세 번 던져 나오는 괘를 통해 점을 칩니다.
각 윷의 결과(도, 개, 걸, 윷, 모)를 숫자로 변환하여(도: 1, 개: 2, 걸: 3, 윷/모: 4) 세 숫자의 조합으로 괘를 얻습니다. 예를 들어, '도-개-걸'이 나오면 123이라는 숫자로 괘를 해석합니다.
과거에는 이러한 숫자 조합에 따른 점괘를 기록한 책(예: 『가정백방길흉비결』)을 참고하여 점을 쳤습니다.
현대에는 이러한 책이 널리 보급되지 않아, 윷점을 전문적으로 보는 사람을 찾거나, 인터넷 등에서 윷점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점괘의 해석:
각 괘는 특정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한 해의 운세, 건강, 재물, 가정 등을 점쳐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모든 윷이 '도'가 나오는 111 괘는 '아이가 인자한 어머니를 만난다'는 의미로, 좋은 의미의 괘로 해석됩니다.
3. 윷놀이와 윷점의 관계:
윷점은 윷놀이에서 파생된 것으로, 윷놀이가 단순히 놀이로 즐기는 것 외에 점술적인 의미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과거에는 윷점을 통해 마을의 풍흉을 점치기도 했다고 합니다. 현대에는 윷점보다는 윷놀이를 가족, 친척들과 함께 즐기는 문화로 더 많이 남아있습니다.
4. 윷놀이의 현대적 의미:
윷놀이는 단순한 놀이를 넘어 한국의 전통 문화를 대표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설날 등 명절에 가족, 친척들과 함께 즐기면서 공동체 의식을 다지고, 세대 간의 소통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설날 전통 민속놀이
설날에 즐기는 전통 민속놀이는 한국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며, 가족과 친척들이 함께 모여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인 설날 전통 민속놀이들을 자세히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 윷놀이:
설명: 윷놀이는 네 개의 윷가락을 던져 나오는 결과를 이용하여 말을 윷판 위에서 움직이는 놀이입니다.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대표적인 놀이로, 단순한 놀이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과거에는 정초에 윷점을 쳐서 한 해의 운세를 점치기도 했습니다.
놀이 방법:
두 편으로 나누어 진행하며, 각 편은 4개의 말을 가지고 시작합니다.
번갈아 윷을 던져 나온 결과에 따라 말을 윷판 위에서 이동시킵니다.
윷의 결과는 도(돼지), 개(개), 걸(양), 윷(소), 모(말)로 나뉘며, 각각 이동하는 칸 수가 다릅니다.
상대편의 말을 잡으면 처음 자리로 되돌려 보낼 수 있습니다.
모든 말을 윷판에서 가장 먼저 내보내는 편이 승리합니다.
2. 연날리기:
설명: 연날리기는 바람을 이용하여 하늘에 연을 띄우는 놀이입니다. 액운을 날려 보내고 복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넓은 공간에서 즐기기에 좋습니다.
놀이 방법:
연에 실을 연결하여 바람을 이용하여 하늘 높이 날립니다.
다른 사람의 연줄을 끊는 '연싸움'을 하기도 합니다.
3. 널뛰기:
설명: 널뛰기는 긴 널빤지 가운데를 받침대로 괴어 놓고 양쪽 끝에 한 사람씩 올라서서 번갈아 뛰는 놀이입니다. 높은 곳까지 올라갔다 내려오는 짜릿함을 느낄 수 있으며, 여성들이 주로 즐겼습니다.
놀이 방법:
두 사람이 널빤지 양 끝에 서서 번갈아 발로 굴러 널빤지를 튕겨 올립니다.
높이 뛸수록 더 재미있어하며, 균형 감각과 운동 신경을 필요로 합니다.
4. 팽이치기:
설명: 팽이를 돌리는 놀이로, 겨울철에 주로 즐겼습니다. 팽이를 얼마나 오래 돌리는지, 또는 팽이끼리 부딪쳐서 승부를 겨루는 등의 방법으로 놀이를 진행합니다.
놀이 방법:
줄을 팽이에 감아 던지면서 돌립니다.
다른 사람의 팽이와 부딪쳐서 상대방의 팽이를 멈추게 하는 놀이를 하기도 합니다.
5. 제기차기:
설명: 제기를 발로 차면서 노는 놀이입니다. 얼마나 많이 차는지를 겨루거나, 여러 명이 함께 차면서 주고받는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놀이 방법:
발로 제기를 차 올립니다.
땅에 떨어뜨리지 않고 얼마나 많이 차는지를 세어 기록을 겨룹니다.
6. 딱지치기:
설명: 딱지를 만들어 바닥에 내려쳐서 상대방의 딱지를 뒤집는 놀이입니다. 간단한 도구로 쉽게 즐길 수 있어 아이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놀이 방법:
두꺼운 종이를 접어 딱지를 만듭니다.
상대방의 딱지를 바닥에 내려쳐서 뒤집으면 딱지를 가져갈 수 있습니다.
7. 강강술래 (주로 추석 놀이로 알려져 있지만, 지역에 따라 설날에도 행해지기도 함):
설명: 여러 명의 여성들이 손을 잡고 원을 그리며 노래를 부르면서 춤을 추는 놀이입니다. 풍요와 안녕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투호(投壺), 쌍륙(雙六) 등 다양한 전통 놀이가 설날에 행해졌지만, 현대에는 윷놀이, 연날리기, 널뛰기, 팽이치기, 제기차기, 딱지치기 등이 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통 놀이들은 단순히 즐거움을 주는 것뿐만 아니라, 가족과 친척 간의 유대감을 강화하고, 한국의 전통 문화를 계승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설날에는 가족들과 함께 전통 놀이를 즐기며 더욱 풍성하고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내시기를 바랍니다.
https://namu.wiki/w/%EC%9C%B7%EC%A0%90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283404
https://pisgah.tistory.com/notice/329
'AI랑 사주랑. 아니면 AI 풍수랑 (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지산 동경 주변(후지산.동경.황궁.칠룡쟁주)풍수**** (0) | 2025.01.27 |
---|---|
후지산 백두산 화산 분화 시점(주기.삼원9운)풍수**** (0) | 2025.01.27 |
사주 명리 길신(吉神.吉星)(학당귀인.관귀학관)4**** (1) | 2025.01.25 |
사주명리 길신(吉神.吉星)(문창귀인.문곡귀인)3**** (2) | 2025.01.25 |
사주명리 길신(吉神.吉星)(천을귀인.태극귀인)2**** (0) | 2025.01.25 |